목록볼링/볼링자료 (6)
날탱이 일상
Lane Courtesy(레인커티시)란 투구순서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회를 주관하는 단체에서 반드시 경기 요강에 공지하게 되어 있습니다. 프로 볼링의 경우 별도 공지없이 일정 교육을 통해 1테이블 커티시 제도로 정착되어 있고, 아마추어 볼링은 1레인 커티시 제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아마추어 동호인들이 볼링을 할 때 레인 커티시는 당연히 1레인 제도를 이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 홀수(3,5,7,9)레인에서 선수가 동시에 올라가서 투구해도 됩니다. 그러나 홀수 레인 투구자의 좌,우 짝수레인 투구자는 어프로치에 올라설 수 없습니다. 당연히 투구자의 좌,우 1레인의 한명씩은 어프로치에 올라설 수 있습니다. 초구와 스페어 처리시 모두 동일하게 적용받게 됩니다. 이러한 제도를 가리켜 One Lane Cou..
모든 스포츠가 마찬가지겠지만, 볼링 역시 과학적인 원리가 많이 들어가 있다. 이걸 누군 공식이라고 하기도 한다. 볼링 역시 오랜시간 변형되고 발전되어 온 스포츠의 한 종목으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한다. 오늘은 많은 이론중에 스트라이크 존을 설정하는 이론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312 이론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볼링에서 사용하는 기본 단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feet = 30.48 cm 1inch = .2.54 cm ※ 3:1:2 이론 볼링핀 1번과 3번 사이로 투구한 볼이 그날 또는 그 시간 레인 상태에 따라서 1번과 3번 사이로 갈 수도 있고, 1번과 2번 혹은 1번으로 갈수도 있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내가 투구한 공이 1번과 2번으로 향했..
레인의 구조와 명칭레인(Lane)실제로 공이 굴러가는 바닥 부분을 의미한다. 레인의 표면은 전후 좌우를 모두 수평으로 깍아서 평평하게 만들어져 있다.어프로치(approach)스텝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파울라인의 뒤 끝까지 최소한 4.57m(15ft)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현재 일반적인 볼링장의 경우에는 4.87m(16ft)이다. (자료를 읽다보면 어프로치를 문맥에 맞게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물리적인 공간을 뜻하기도 하지만 투구를 하기위해 올라가서 투구를 완료하는 순간까지의 행동을 이르는 뜻으로 사용되기 하기 때문이다.)스탠딩스팟(standing spot)투구 동작을 하기 위해 최초로 서는 발의 위치를 잡기 위한 것이다. (개인의 보폭등을 고려해서 발의 위치는 개인차가 발생한다.)파울라인(foul..